육아

아동 신체와 놀이 어떻게 할것인가~! 4~7세

모두의 정보정리사 2025. 2. 10. 17:13

4~7세 아동의 신체 및 정서 발달 특징

1. 신체 발달

  • 4~7세는 신체 활동이 활발해지고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시기입니다.
  • 운동 기능과 감각-운동 조절 능력이 크게 향상됩니다.
  • 뇌 활동성(신경 활성도)이 3세보다 약 120% 증가하여 감각 운동 영역, 운동 조절 영역, 언어 영역이 더욱 활발하게 작용합니다.
  • 신체 활동을 통해 뇌가 발달하며, 특히 시각과 운동이 연결되는 경험이 중요합니다.
  • .

신체발달의 특징

2. 놀이와 언어 발달

  • 놀이 활동이 뇌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, 특히 신체 활동을 통해 감각적 경험을 쌓고 언어 발달을 촉진합니다.
  • 상상력과 역할놀이를 통해 언어 표현 능력과 정서 조절 능력이 발달합니다.
  •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적 소통을 경험하며, 이를 통해 감정과 사고를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됩니다.

3. 동기부여와 학습의 관계

  • 4~7세 시기의 학습은 동기와 인지 활동이 결합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.
  • 아이들은 자신이 즐겁고 흥미로운 활동을 할 때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, 이를 통해 지속적인 학습 동기를 형성합니다.
  • 부모가 강요하는 학습보다는, 아이가 자발적으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4. 정서 발달과 조절 능력

  •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발달하며, 48개월 이후에는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단계로 발전합니다.
  • 감정을 조절하는 첫 단계는 스스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며, 이후 주변 관계를 통해 조절 방법을 배웁니다.
  • 행동과 충동 조절이 본격적으로 형성되는 시기이며, 사회적 규칙을 이해하고 이를 따르는 능력이 발달합니다.

정서발달

5. 조절 능력 발달과 놀이의 관계

  • 뇌에는 흥분성 신경 회로억제성 신경 회로가 존재하며, 이 두 가지가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한 발달이 가능합니다.
  • 4세 이후에는 흥분성이 먼저 발달하며, 신체 활동을 통해 억제성이 함께 발달하도록 도와줘야 합니다.
  • 연구에 따르면, 신체 활동을 먼저 충분히 한 후 학습을 진행하면 아이들의 집중력과 학습 참여도가 높아집니다.
  • 따라서, 아이들이 충분히 뛰어놀고 신체 활동을 한 후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
역활놀이

 

6. 적절한 신체 활동의 기준

  • 연구에 따르면, 4,5,6세의 아동은 평균  1~2시간의 야외 활동을 포함한 신체 활동이 필요합니다.
  • 활동량이 부족할 경우, 에너지가 발산되지 않아 집중력 저하, 불안정한 정서 상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• 놀이와 신체 활동을 통한 자연스러운 학습이 중요하며, 이를 위해 부모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
7. 부모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

  • 가정 내에서 아이가 신체 활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.
  • 청소, 쓰레기 버리기 등의 가사활동에 아이를 참여시키며,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.
  • 주말에는 충분한 야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며, 평일에는 실내에서도 활동적인 놀이를 권장합니다.
  • 유치원 및 가정에서의 역할 놀이를 통해 사회적 역할을 익히고, 감정 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결론

4~7세 아동의 신체 및 정서 발달은 놀이와 신체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. 이 시기의 아이들은 활발하게 움직이며 감각과 운동을 연결하고, 이를 통해 언어와 정서 조절 능력을 키워갑니다. 부모는 강제적인 학습보다는 아이가 즐겁게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, 신체 활동과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발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